소설 돈키호테가 올해로 완간 400년을 맞이했습니다. 돈키호테에 대한 찬사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합니다.
“인류의 바이블”(생트 뵈브),
“근대 소설의 효시”(알베르 티보데),
“문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설”(노벨 연구소),
“세르반테스와 데카르트는 근대의 공동 부모”(소설가 밀란 쿤데라)
“돈키호테 이후에 쓰인 소설은 돈키호테를 다시 쓴 것이거나 그 일부를 쓴 것”(르네 지라르),
“전 세계를 뒤집어 봐도 ‘돈키호테’보다 더 숭고하고 박진감 있는 픽션은 없다”(도스토예프스키)…. 찬사는 끝도 없습니다.
2002년 노르웨이 북클럽에서 세계 54개국 저명한 작가와 비평가들을 상대로 ‘역사상 가장 의미있는 문학 작품’을 두고 벌인 설문 조사에서도 1위가 돈키호테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평가와는 사뭇 다릅니다.
‘미친 시골 하류 귀족의 엉뚱한 모험담’
‘괴짜’
‘사회부적응자’…
분명한 것은 이 시대는 햄릿형 인간상이 아닌 돈키호테가 그 답이라는 점입니다.
미국을 살려낸 스티브 잡스, 마크 주커버그처럼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돈키호테형 인재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모범적인 인간상에도 이제는 변화가 와야 하지 않을까요?
창의력이 필수인 정보기술(IT)분야만이 아닌 사회 전 분야가 돈키호테를 찾고 있습니다.